728x90
그리디 알고리즘 (Greddy Algorithm)
매 선택에서 지금 이 순간 당장 최적인 답을 선택하여 적합한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의 알고리즘
- 탐욕 알고리즘, 욕심쟁이 알고리즘으로도 불림
- 최적해를 구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방법
- 최적해를 보장해주지 않음
- 대표적으로 거스름돈,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 있음
ex) 자식노드로 향하면서 가장 높은 값을 얻을 때 그리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
그리디 알고리즘은 처음 7과 13에서 13이 크기때문에 13을 선택
그 후 5와 11을 비교해서 11이 크므로 11을 선택해서 결과값 24를 도출
하지만 처음에 7을 선택하고 후에 100을 선택해서 107의 결과값을 도출하는것이 최적해
'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벨만 포드 (Bellman-Ford) 알고리즘 (0) | 2021.05.12 |
---|---|
분할 정복 알고리즘 (Devide and Conquer) (0) | 2021.05.12 |
해싱 (Hashing), 해시 충돌 (Hash Collision), 체이닝 (Chaining), 개방 주소법 (Open Addressing) (0) | 2021.05.12 |
B-트리, B+트리, 2-3 트리, 2-3-4 트리 (0) | 2021.05.12 |
AVL 트리 (AVL Tree) (0) | 2021.05.11 |